전문대 보건 이번에 정시로 전문대 보건계열 다 같은 과 지원한 사람입니다 학교에

전문대 보건

cont
이번에 정시로 전문대 보건계열 다 같은 과 지원한 사람입니다 학교에 합격하면 가고 싶은 순위를 정해야할텐데 도저히 기준을 어떻게 정해야할지 모르겠어요.. 전문대 중에서 좀 좋은 취급 받는 서울 안에 있는 곳에 지원한게 아니라서 더 고민입니다.. 물론 대학마다 조금씩 입결 차이는 있긴 하지만 사회 나가면 다 또이또이한 취급 받나요? 전문대 같은과면 집에서 그냥 가까운 곳으로 가라는 글도 많이 봐서 기준을 어떤 식으로 하면 좋을지 궁금합니다

전문대 보건계열을 선택할 때 어떤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정할지 고민하는 상황이군요. 사회에 나가서 같은 보건계열이면 비슷하게 취급받는 경우가 많지만, 세부 조건에 따라 선택 기준이 달라질 수 있어요. 몇 가지 중요한 기준을 정리해 드릴게요.

1. 취업률과 실습 환경

  • 보건계열은 실습과 현장 경험이 매우 중요합니다.

  • 학교마다 실습 병원, 산학 협력기관이 다르기 때문에, 취업률이 높은 곳이나 실습 기회가 많은 학교를 우선순위로 두는 것이 좋아요.

  • 지원한 학교의 홈페이지나 후기에서 졸업생 취업처를 꼭 확인해 보세요.

2. 거리와 통학 시간

  • 실습과 수업이 빡빡한 경우, 통학 시간이 길면 체력적으로 힘들 수 있습니다.

  • 집과 가까운 곳이면 경제적 부담과 체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니 이 점도 고려하세요.

3. 학교 이미지와 네트워크

  • 명확히 유명한 학교가 아니더라도, 해당 지역에서 평판이 좋은 학교일 수 있습니다.

  • 교수진과 선배 네트워크가 강한 학교는 현장 실습 추천이나 취업 시 유리할 수 있어요.

4. 장학금 및 부대시설

  • 장학금 혜택이나 기숙사 같은 복지 조건도 선택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.

  • 도서관, 실험실, 실습실 등 부대시설이 얼마나 잘 갖춰져 있는지도 참고하세요.

정리 – 우선순위 기준

  1. 취업률과 실습 병원

  2. 거리와 통학 편의성

  3. 학교 네트워크 및 졸업생 후기

  4. 장학금과 복지 혜택

**“사회에 나가면 다 또이또이하다”**는 말이 어느 정도 맞지만, 본인에게 실질적으로 도움되는 환경을 고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




참아야지! 참아라!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. 친구여, 정말 자네 말이 맞네.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,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.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- 괴테